언어/Java (12) 썸네일형 리스트형 열거형 tip. 인터페이스 내에 선언된 변수는 public static final 이 선언된 것으로 간주 즉, 상수 인터페이스 기반 상수의 정의 : 자바 5 이전의 방식 interface Scale { int DO = 0; int RE = 1; int MI = 2; int FA = 3; omt SO = 4; int RA = 5; int TI = 6; } 이전 방식에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interface Animal { int DOG = 1; int CAT = 2; } interface Person { int MAN = 1; int WOMAN = 2; } public static void who(int man) { switch(man) { case Person.MAN: System.out.println("남성 손.. 제네릭 (2) 제네릭의 심화 문법 1. 제네릭 클래스와 상속 ex. class Box { T ob; public void set(T o) { ob = o; } public T get() { return ob; } } class SteelBox extends Box { public SteelBox(T o) { ob = o; } }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Box iBox = new SteelBox(7959); Box sBox = new SteelBox("Simple"); } 2. 타겟 타입 ex. class Box { T ob; public void set(T o) { ob = o; } public T get() { return ob; } } class EmptyBoxFa.. 제네릭 (1) 제네릭의 이해 제네릭 이전의 코드 =class Apple { public String toString() { return "I am an apple."; } } class Orange { public String toString() { return "I am an orange"; } } // 다음 상자는 사과도 오렌지도 담을 수 있다. class Box { // 무엇이든 저장하고 꺼낼 수 있는 상자 private Object ob; public void ser(Object o) { ob= o; } public Object get() { return ob; } } 이렇게 짜면 Box 클래스에는 Apple, Orange 클래스 모두를 담을 수 있다. 하지만 이 경우 main 메소드를 보면 public sta.. 오버로딩(Overloading) 과 오버라이딩(Overriding) 자바에는 다형성이라는 것이 있습니다. 다형성(polymorphism)이란 하나의 객체가 여러가지 타입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 다형성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메서드 오버로딩 과 오버라이딩 이 있습니다. 그런데 이렇게 이야기해도 솔직히 잘 모르므로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을 공부하고 예를 들어서 이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오버로딩 (Overloading) 같은 이름의 함수를 여러개 정의하고, 매개변수의 유형과 개수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유형의 호출에 응답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 필드 변수로 String name과 int age를 가지고 있는 Human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. 이 객체들을 여러개 만들고 싶은데 어떤 것은 이름만 알고, 어떤 것은 나이만 알고, 어떤 것은 이름.. 이전 1 2 다음